티스토리 뷰

반응형

오색청해 앵무새 두 마리가 나뭇가지에 앉아있는 모습

오색청해 앵무새의 화려한 색상 등과 같은 속성에서 대해서 알아보고 화려한 생김새에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한때 희귀 동물 시리즈에 일종으로 앵무새로 인정받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에 맞게 분류를 통해서 어떻게 등재되었는지에 대해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꿀과 열매를 먹는 오색청해 앵무새

오색청해 앵무새의 학명은 Trichoglossus haematodus이고 몰루카제도 및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산지이고 아종은 24종이 있는데 그중 사육하고 있는 아종은 6종 정도입니다.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는 붉은 오색앵무와 노랑목 푸른 오색앵무, 티모르섬에는 작은 오색앵무, 셀레베스섬 북부에는 검은 머리 푸른 오색앵무, 발리섬과 롬복섬에는 작은 푸른 목 오색앵무가 대표종입니다. 에드워드 로리키트(Edward's Lorikeet)와 오색청해앵무와 같은 종족은 미국과 유럽에서 흔하게 볼 수 있고 레인보우 로리키트(Rainbow or Swainson's Lorikeet)는 호주에서 더 많이 널리 사육되고 있습니다. 호주에서 대량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꿀, 꽃의 열매, 곤충등과 같은 액상을 주식으로 먹으며 살아서 배설물이 지저분한 편입니다. 이 종은 미국과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각각의 쌍으로 키우는 것이 좋으며 소화에 예민하고 민감하여 상한 음식을 먹었을 경우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혼합 과즙은 한 번에 먹을 양으로 급식하시고 남은 것은 그냥 폐기하시는 게 좋습니다. 몸길이는 평균 25~30cm 정도 되고 평균 몸무게는 70~80g 정도 되는 중형 앵무새입니다. 수명은 평균 20~30년 정도 살고 번식기는 1년에 2~3번 정도 산란하고 보통 한배에 2개 정도의 알을 낳으며 포란 기간은 보통 26일 정도 됩니다. 부화된 아기새는 56일 경과 후에 이소하고 성조는 16개월 이상이 걸린다고 합니다. 파란색과 초록색이 혼합되어 있는 화려한 색상을 하고 있는 앵무새입니다. 암수구별은 외형적으로는 구별하기 어려우니 성별검사를 통해서 확인해 보시게 좋습니다.

알록달록 아름다운 무지갯빛 생김새

오색청해 앵무새는 온몸이 녹색이고 머리는 짙은 푸른색이거나 검은색이고 앞가슴에 가로로 붉은 무늬가 있고 그 옆에는 붉은색 또는 밝은 황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랫배는 청색와 황색 등으로 다양하고 꼬리깃의 위쪽은 녹색이고 아래쪽은 황색이며 부리는 연한 황색이고 눈은 붉은색을 하고 있는 알록달록한 앵무새입니다. 눈에 띄는 원색이며 다른 새와 구분하기 쉬운 편입니다. 국내에서 오색청해라고 불리는 종인데 이름처럼 오색 빛깔처럼 화려하고 아름다운 무지갯빛 깃털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때 떠돌던 희귀 동물 시리즈에 일종인 무지개로리키트가 앵무새처럼 생겼지만 앵무새가 아니라라는 출처를 알 수 없는 정보와 함께 지어진 이름까지 롤리키드라고 틀리게 나온 적이 있다고 합니다. 체구가 작으나 긴 꼬리를 하고 있으며 에너지가 넘치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정말 호기심이 많으며 굉장히 활발하고 영리한 편입니다. 가만히 있지 못하는 성격이고 명랑하고 장난을 좋아하는 천방지축입니다. 다른 앵무새에 비해 애교도 상당히 많은 편이고 거의 붙여있어 껌딱지라고 할 만큼 보호자와 같이 있으려고 합니다. 하지만 절대 얌전한 성격은 아닙니다. 앵무새 세계의 비글이라는 카이큐 앵무새보다 더하면 더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리를 자주 내는데 굉장히 시끄러운 편이라서 공동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은 주거환경에서는 다소 부적절할 수도 있으니 추천하지 않습니다. 울음소리는 높은 톤의 호각과 같은 소리를 내는 편이지만 자주 소리 내어 우는 편은 아닙니다. 언어능력이 좋아서 사람을 말을 잘 배우는 앵무새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종은 적당한 환경에서 자랄 때에 흔쾌히 둥지를 만드니 각각의 쌍으로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

오색청해라는 이름을 호주에서는 다른 이름

국내에서는 오색청해 앵무새로 부르지만 호주에서는 무지개 진훙 잉꼬라고 부릅니다. 무지개 진훙 잉꼬는 1788년 요한 프리드리히 그멜린이라는 독일 박물학자에 의해 Psittacus moluccanus라는 이명으로 공식적으로 등재되었다고 합니다. 그멜린은 1779년 그의 Histoire Naturelle des Oiseaux에서 La Perruche a Face Bleu에 대한 설명을 발표한 프랑스의 박물학자을 인용 했습니다. 이 종은 "Peluche des Moluques" 및 "Perruche d'Amboine"으로 설명되어 있으며 Gmelin은 표본이 Moluccas에서 왔다고 믿었기 때문에 특정 별명 moluccanus를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그만큼 유형 지역은 1916년 Gregory Mathews에 의해 호주의 Botany Bay로 변경되었습니다. 무지개 진훙 잉꼬는 현재 영국 박물학자가 1826년에 도입한 Trichoglossus 속에 속하고 2개의 아종이 인식되었습니다. 무지개 진훙 잉꼬는 종종 붉은 목 진훙 잉꼬를 아종으로 포함시켰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주요 권위자들은 이를 분리된 것으로 간주한다고 하고 추가로 1997년의 검토에서 독특한 분류군 중 일부를 별도의 종으로 분리하라는 권고로 이어졌습니다. 이들은 진홍색 가슴 진훙 잉꼬, 금잔화 진훙 잉꼬 및 Flores lorikeet. 이것은 점점 더 주요 권위자들에 의해 뒤따르고 있으며 2019년 호주의 무지개 진훙 잉꼬는 무지개, 코코넛 및 붉은 칼라 잉꼬로 세 가지로 나누어졌다고 합니다. 오색청해 앵무새는 소음이 심한 편이라서 많이 입양되지는 않지만 활동적이고 애교가 많아서 한번 교감을 가진다면 그 매력에 빠집니다. 화려한 색상만 보시면 안 됩니다. 소중한 생명체이므로 입양 전에는 보호자의 주거환경과 주변 환경이 적절한지 잘 파악하시고 알아보신 후에 입양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입양 전에 잘 알아보시지 않고 입양하시어 소음등과 같은 문제로 다시 파양 하는 일이 없게 많은 관심과 사랑으로 보살펴주시고 책임감과 성실함으로 잘 관리해 주셔야 반려조와 함께 즐거운 일상이 되실 것 같습니다.

반응형